본문 바로가기
수화통역사가 되자/통역학

수화와 수화통역

by Ziptopia_liniya 2023. 9. 15.

■ 수화(手話)

손으로 언어를 구성하여 대화를 하는 것. 

한국수화언어법 제정 이후, 수화라는 방식을 통해 표현되는 '언어'를 가리키는 말로서 '수어'가 공식 용어로 쓰이게 되었다.

수어는 '언어'이며, 비언어 의사소통인 '몸짓언어(Body Language)'와는 다르다.

 

수화는 뜻과 소리의 결합이 비교적 임의적인 음성언어와는 달리 뜻과 소리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수화에서는 비교적 한정되 손짓으로 다양한 표현을 하기 위해 여러 가지 요소들이 동원되는데, 손의 위치(머리, 가슴, 배 등), 손의 움직임, 손의 모양, 손의 방향, 몸의 움직임이 바로 그것이다. 이러한 손, 몸짓의 동시성을 달리하는 것도 의미에 변화를 가져온다.

 

수화에는 크게 두 가지 종류가 있다. 

청각장애인 사회에서 전통적으로 사용되던 자연발생적 수화(전통수화)와 건청인의 접촉, 청각자애인의 교육 등을 위해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차용수화(문법수화)가 그것이다. 청각 장애인 사이에서 의사소통이 이루어질 경우, 전통수화를 많이 사용하는 반면, 청각장애인이 건청인과의 대화를 시도할 때에는 문법수화를 사용하거나 전통, 문법수화를 섞어서 사용하기도 한다. 

 

1. 자연발생적 수화(전통수화)

    - 통사와 의사소통 방식이 해당국의 음성언어와 큰 관련이 없다. 

    - 미국, 캐나다에서 널리쓰이는 ASL (American Sign Language), 영국의 청각장애인이 쓰는 BSL(British Sign

      Language), 독일의 LBG(Lautsprachbegleitendes Gebarden) 등이 있따. 

 

2. 차용수화(문법수화)

   - 해당국의 음성언어의 문법과 어휘를 유사하게 모방한 수화

 

**수어에 대한 오해** (출처. 나무위키)

수어에 대한 흔한 오해 중 하나는 수어가 만국공통어라는 오해이다. 한국어와 영어가 다른 것처럼 국가와 지역에 따라 수어도 다르고, 음성언어처럼 어족도 있따. 수어도 음성 언어처럼 자연 발생했으며, 따라서 지역별로 다른 언어가 형성되었다. 

다만, 여러 나라의 농인의 소통을 위한 '국제수화(International Sign)'도 있다.

 

[수어의 특징] (출처. 나무위키)

■ 음성언어와 구별되는 수어의 특징

 

1. 공간활용

    수어와 음성 언어의 가장 큰 차이점은 수어의 단어와 문장이 3차원적 공간에서 두 손으로 산출된다는 점이다. 일치동사

    의 경우, 인칭의 일치를 위해 동사가 굴절될 때, 공간 방향을 반대로 활용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한국 수어

    '주다'는 A에서 B로 향하는지 B에서 A로 향하는지에 따라 A, B 중 누가 주어이고 여격어인지 결정된다.

 

2. 동시성

    수어는 조음자가 여러 개 이기 때문에(두 손, 얼굴, 몸 등) 이론적으로는 이를 동시에 사용해서 합성어, 문장 등을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이러한 쓰임은 제한적이며 기본적으로는 순차적 산출을 한다.

 

3. 도상성(사상성)

     음성 언어의 경우, 단어가 도상성을 띠고 있는 경우는 의성어 정도로 매우 제한적이다. 그러나 수어 어휘들의 경우, 많은

     경우 대상을 모방하여 만들어지기 때문에 도상성을 가지고 있다고 여겨진다. 그러나 대상의 어떤 특징을 가져와 어휘화

     할 것인지는 자의적이므로 상당한 정도의 자의성을 가지고 있다.

 

4. 비수지신호

    비수지신호는 머리의 움직임, 몸의 움직임, 눈의 움직임, 눈썹의 움직임, 입 모양, 표정 등의 여러 요소로 구성되어 있으

    며, 이것이 하는 기능은 비 수어 화자들이 상상하는 것 이상이다. 게다가 형태적, 통사적 기능 외에도 말을 할 때 어조로

    화자의 감정이 표현되듯이 수어를 할 떄는 표정이 이러한 기능을 한다.

 

    <비수지신호의 예>

     ⊙ 한국 수어 단어 '귀엽다'와 '아깝다'는 수형, 수동, 수향, 수위가 동일하고 얼굴 표정에서만 차이가 존재한다.

     ⊙ 한국 수어에서 '눈썹 올리기', '입을 벌리기', '얼굴을 앞으로 내밀기'를 통해 YES-NO 의문문을 나타내거나,

          의문사와 함꼐 Wh-의문문을 나타낸다.

     ⊙ 한국 수어에서 청유문은 '상대방을 바라보면서 고개를 끄덕이는' 비수지신호를 사용한다.

 

■ 동아시어(한자문화)권 수어의 특징

  1. 한자 차용

      한자의 모습을 따라하여 형태소나 단어가 만들어진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한국 수어에서 '밭'은 양손에 손가락 3개씩을 펴 수직으로 포개는 동작으로 田을 형상화했으며 천(川)자는

      손가락 3개를 펴 아래로 쓸어내리는 동작으로 형상화 했다. 

 

  2. 일본 수어의 영향

       대만, 한국과 같이 일본 식민지배를 경험한 국가의 경우 일본 수어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고, 이 세 수어는 일본 수어

       어에 속한다. 그로 인해 언어 간에 형태가 일치하는 어휘가 상당히 많다. 

 

■ 수어통역

 

수어통역이란 청각장애인(경우에 따라서는 시청각 장애인)과 건청인의 커뮤니케이션을 가능케 해주는 통역 행위이다.

 

수어통역은 동시통역을 전제로 하나 이해에 어려움이 있을 경우에는 순차통역 모드를 사용하기도 한다. 실제 수어통역 교육에서는 순차통역 기술을 익힌 후, 동시통역을 학습하도록 하고 있다.

 

수어통역사의 업무에는 전통수화를 사용하는 일반 수어통역이외에도 음성언어를 문법언어로 전환하는 축어역, 청각장애인에게 문서를 통역해주는 문장구역식 수화통역, 수화의 음성언어로 통역, 시청각장애인을 위한 촉각통역 등이 있다.

 

한국에서는 1997년에 민간자격제도가 시행되었고, 2006년부터 국가공인시험이 도입을 시작하여, 한국생산성본부에서 시행하는 2019년부터 KPC자격 한국수어교육능력검정시험이 시행되었다.

 

 

 

 

 

 

'수화통역사가 되자 > 통역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화통역학  (0) 2023.10.11
통역사, 통역사의 자질  (0) 2023.09.15
통역의 분류  (0) 2023.09.12
통역학  (0) 2023.0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