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화통역사가 되자/통역학

수화통역학

by Ziptopia_liniya 2023. 10. 11.

수화통역이란 기본적으로 통역의 한 부분에 속하는 것으로서 언어의 형태와 형식에서 차이가 있을 뿐 통역의 정의와 원리에 부합한다.

('언어의 형태와 형식에서의 차이' : 구어가 청각, 음성 양식을 따르는 데 비해 수화 언어는 시각, 동작 양식을 따른다.)

수화언어학의 성립은 미국에서 이루어진 두 가지 연구("수화언어의 구조(Stokoe, 1960)",  "언어인 수화(Klima&Bellugi,1979)")가 기초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미국에서 언어학을 바탕으로 한 이들 연구는 이후의 많은 지역과 연구자들에게 영향을 미쳤고, 수화언어 연구는 세계로 확산됨으로써 개별 수화언어의 특징은 물론 언어의 보편성을 마탕으로 한 연구로 확대됨으로써 구어와 수화언어 간, 개별 수화언어 간의 구조가 밝혀지고 있다.

 

"수화언어의 구조(Stokoe, 1960)"의 핵심

 - 수화는 내부구조를 지니는 언어이다. 구체적으로 미국수화는 구어의 음소에 해당하는 제한적인 기본 요소를 지니고 있으며, 이들 기본 요소의 결합에는 구어처럼 복잡한 규칙이 있다. 음운구조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연구.

 

"언어인 수화(Klima & Bellugi, 1979)"

 - 수화(미국수화)의 결합과정과 통합과정에서의 내부구조(문법)를 밝히는 데 초점을 둔 연구.

 

수화언어 연구는 통역학과 마찬가지로 언어학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으며, 언어학이 추구하는 거의 모든 분야를 연구영역으로 하기 때문에 언어학에 영향을 미치는 인접 학문분야(심리언어학, 인지언어학, 신경언어학, 사회언어학, 사회학, 교육학, 문화인류학)와 연계된다.

 

수화언어에서의 심리언어학

 - 농인의 언어생활을 심층적인 측면에서 분석하여 언어습득과 언어정체성, 언어환경에까지 이어진다.

 

수화언어에서의 인지언어학

 - 통역의 인지처리과정과 이어진다.

 

수화언어에서의 사회언어학

 - 수화언어공동체(농사회)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킴

 

수화언어에서의 문화인류학

 - 수화통역에 있어서 민족지적 접근을 필요로 한다. 농문화는 수화통역의 특수성과 반드시 연계된다.

 

[수화통역학의 배경]

 

*국외의 배경 (미국)

 - 1960년대 중반 미국에서의 수화통역 훈련 프로그램이 대학을 중심으로 개설되기 시작함

 - 1970년대 지역별 통역훈련센터가 설립됨

 - 1972년 이후 미국수화통역사협회(RID)에 의한 수화통역사 자격시험이 시작됨

 - 1980년대 "상호작용 이론"을 바탕으로 한 미국수화 교육과정 (Baker-Shenk & Cokely, 1980)과 

                    "기능적 접근 이론"을 바탕으로 한 미국수화 교육과정(Smith et al., 1988)이 구성됨

 - 1980년대 중반 RID에 의해 "The Journal of Interpretation"이 창간됨

    -> John Benjamins출판사가 기획한 잡지로 편집진에는 수화 연구자들도 참여하고 수화통역 관련 논문이 게재됨

    -> 연구와 응용, 통역훈련의 개선, 통/번역을 위한 학제적 접근, 리뷰등이 주요 내용으로 되어 있음.

 - 1986년 수화통역 입문서(Frishberg) 간행됨

 - 1990년대 지역사회통역과 수화통역에 대한 통역학 내의 관심이 사회, 문화분야로 확대됨.

 - 1995년 미국수화통역사협회(RID)에 의해 "의미 이론" 소개 및 통역교육을 위한 체계적 접근(Seleskovitch et al., 1995) 이 소개되어 수화통역실무와 통역 연구에 새로운 전기를 맞이함.

 - 1996년 통역 연구 전문지 "Interpreting"이 창간됨.

 - 2007년 "Sign Language Translator and Interpreter"가 창간됨.

    -> 수화통역의 이론과 실제, 기술 등의 문제외 통역훈련 프로그램과 실제 관련 문제등을 다룸.

 

*국내의 배경

 - 1990년대 초 수화통역 과년 연구가 시작됨. 수화통역의 도입을 위한 연구 중심이었음.

    -> 수화통역의 필요성 (안일남, 1992), 외국의 수화통역제도 (강주해, 1992), 수화통역제도의 확립을 위한 제언 (이정섭, 1992)

  - 1990년대 중반 수화통역의 제도화를 위한 연구(김칠관 외, 1995)

  - 1997년 수화통역사 자격시험

  - 2001년 이후 대학에 수화통역학과가 개설됨. (수화통역 관련 연구가 활성화되기 시작함)

 

수화통역이 한국 안에서 체제를 갖추어 등장하기 시작한 것은 1990년대 후반이었다. 2000년대를 들어와서는 국가공인을 받을 만큼 그 의의와 역할이 높이 평가받기에 이르렀다. 그 뒷받침이 되었던 배경에는 한국수화 관련 연구의 활성화와 대학을 중심으로 한 관련 학과의 설치였다고 할 수 있다. 

 

'수화통역사가 되자 > 통역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화와 수화통역  (0) 2023.09.15
통역사, 통역사의 자질  (0) 2023.09.15
통역의 분류  (0) 2023.09.12
통역학  (0) 2023.09.12